티스토리 뷰
목차
070 번호 차단을 해제하면 업무·택배·고객센터 연락을 놓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, 동시에 스팸 전화가 유입될 가능성도 커집니다.
이때 몇 가지 관리 팁만 활용하면 중요한 070은 놓치지 않고, 불필요한 스팸은 차단할 수 있어 시간·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.
스팸 차단 앱 병행 사용
후후, T전화, U+스팸차단 앱은 070 번호를 전부 막지 않고, 스팸으로 판별된 번호만 걸러낼 수 있습니다. 차단 해제 후에는 발신자 식별 기능을 켜 두어 스팸·안심 번호를 한눈에 구분하세요.
허용 목록(화이트리스트) 관리
중요한 070 번호는 연락처에 등록해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. 연락처에 저장된 번호는 대부분 스팸 필터를 우회해 정상적으로 연결됩니다. 특히 거래처, 택배, AS 센터 등 자주 오는 번호는 ‘업체명(070)’ 식으로 저장해 두면 착신 시 혼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.
통신사 부가서비스 활용
- SKT T world: 스마트콜 차단 서비스에서 ‘인터넷전화(070)’ 전체 차단을 해제하고, 필요한 번호만 허용 등록
- KT 마이케이티: 통화 필터에서 특정 번호만 허용하도록 설정
- LG U+: U+스팸차단 앱에서 발신 유형별 차단을 해제하고, 개별 차단 관리
부가서비스를 그대로 두면 다시 수신이 막히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점검하세요.
스팸 최소화 실전 팁
- 차단 해제는 하되, 스팸 알림은 켜 두어 번호 신뢰도를 확인
- 중요 번호는 연락처 등록으로 스팸 필터 우회
- 의심 번호는 바로 받지 말고 부재중·문자 확인 후 콜백
- 반복 스팸은 앱 내 신고 기능을 활용해 자동 차단 목록에 추가
꿀팁
1) 모든 070을 다 받지 말고, 필요한 번호는 저장·허용 목록으로 관리하세요.
2) 스팸 차단 앱의 ‘실시간 발신자 정보 표시’를 켜두면 통화 전 스팸 여부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.
3) 차단 해제 후 스팸이 늘면, 통신사 고객센터에 문의해 ‘부분 허용(특정 번호만 수신)’ 방식으로 설정하세요.
4) 필요 없는 070은 즉시 차단·신고하면 이후 같은 패턴의 스팸 유입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